티스토리 뷰

기타개발

Github - 기본 사용법

쉬엄쉬엄하자 2021. 5. 28. 10:04
728x90

이번에는 협업으로 개발을 할 때 거의 필수적인 깃허브 기본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깃허브는 협업할때 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 진행한 토이 프로젝트나 개발연습을 위해 조금씩 만져본것들을 백업하는 용도로도 자주 쓰이기 때문에 깃허브 사용법을 알고 계시는건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깃의 다양한 기능은 제외하고 최초 프로젝트 폴더를 깃허브에 어떻게 연동 시키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리포지토리 만들기

먼저 깃허브에서 신규 리포지토리를 만듭니다. 왼쪽 상단에 new버튼을 통해 만들 수 있습니다.

 

리포지토리를 만드셨다면 해당 리포지토리의 링크가 생길 것입니다. 링크 옆에있는 복사하기 버튼을 눌러 클립보드에 링크를 복사합니다. 

 

2.로컬 저장소 만들기

로컬 저장소란 공유되는 리포지토리가 아니라 개개인의 로컬 환경을 말합니다. 여기서 파일을 추가하고 뺀뒤 로컬 저장소에 커밋을하고 최종적으로 리포지토리에 푸쉬를 통해 연동을 시키게 됩니다.

 

로컬 저장소를 만드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깃허브에 올릴 프로젝트 폴더 최상단에서 우클릭을 하면 

Git bash here를 선택해  git 쉘 창을 엽니다. 단, 컴퓨터에 깃이 깔려 있어야 합니다.

깃 다운로드 주소

https://git-scm.com/downloads

쉘창이 열렸다면 로컬저장소 생성을 위해 git init을 입력합니다. 로컬저장소 생성은 이것만으로 충분합니다.

 

3. 리포지토리와 로컬저장소 연결하기

이제 깃허브에 있는 리포지토리와 나의 로컬저장소를 연결하여 연동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열려있는 쉘창에 git remote add origin 로컬저장소 주소 를 입력합니다. 쉘창에서는 ctrl+v를 통해 붙여넣기가 안되기 때문에 링크를 복사한후 우클릭 paste를 눌러 붙여넣기를 해야합니다.

 

4.로컬저장소에서 커밋하기

로컬저장소에 먼저 변경사항을 커밋해야 리포지토리에 푸시할 수 있습니다.

git status 명령을 입력하면 커밋되어있는 버전과 현재 폴더의 상태를 비교하여 결과가 출력됩니다.

그 목록에서 커밋을 원하는 파일을 git add 파일명을 통해 추가하거나

git add *을 통해 모든 파일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git add . 을 이용하면 특정 파일을 제외하여 추가할 수 있지만 이거에 대해선 다음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파일을 추가하였으면 git commit -m "커밋메세지" 를 입력하여 로컬저장소에 커밋합니다.

 

5.리포지토리에 푸시하기

이제 로컬저장소에 커밋된 내용을 최종적으로 리포지토리에 푸시합니다.

git push origin master를 입력하면 깃허브에 있는 리포지토리에 파일들이 추가됩니다.

 

6.명령어 순서정리

위에서 따라온 명령어들을 간략하게 순서대로 나열해보면

git init

git remote add origin 링크

git add *

git commit -m "커밋메세지"

git push origin master

순서대로 입력하면 기본적인 깃허브 연동을 할 수 있습니다.

 

7. 리포지토리 내용 가져오기

역으로 리포지토리에 있는 내용을 로컬저장소에 가져올떄는

git pull origin master를 사용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아요 버튼 부탁드립니다.

댓글